2022.03.17
헤드라인
"4년 뒤 90조 시장... 삼성전자, 로봇사업 본격 참전"
기사링크
https://www.mk.co.kr/news/business/view/2022/03/243694/
본문
삼성전자가 핵심 신사업으로 로봇을 낙점했다. 이와 함께 메타버스와 인공지능(AI) 등 신성장 산업 분야의 역량을 올해 안으로 조기에 확보하겠다고 밝혔다. 또 주력 사업인 반도체와 관련해 올해 세계 시장 규모가 9% 이상 성장할 것으로 예상했고, 디스플레이와 가전 분야에선 하이엔드(고가제품) 시장을 적극 공략하기로 했다.
한종희 삼성전자 대표이사 부회장(DX부문장)은 16일 경기 수원컨벤션센터에서 열린 주주총회에서 미래 성장 모멘텀에 대해 설명하며 "신사업 발굴의 첫 행보는 로봇 사업"이라고 선언했다. 한 부회장은 "삼성전자는 로봇을 고객 접점의 새로운 기회로 생각하고, 전담 조직을 강화해 신사업으로 추진하고 있다"고 말했다.

삼성전자는 최근 수년간 로봇 산업 분야에서 보폭을 넓혀왔다. 2019년 노약자 돌봄 로봇인 '삼성봇 케어' 등을 선보이면서 로봇 제품을 공개하기 시작했다. 이듬해에는 지능형 반려 로봇 '볼리'를 선보였다. 지난해 8월에는 로봇과 AI를 포함한 미래 기술 산업에 3년간 240조원을 투자하겠다고 밝히며 공격적인 행보를 예고했다. 이어 지난해 말에는 조직 개편을 통해 기존의 '로봇 사업화 태스크포스(TF)'를 정식 조직인 '로봇사업팀'으로 격상시키며 사업 확장을 위한 준비를 마쳤다.
업계에서는 삼성전자가 지난해 CES에서 선보인 고관절에 착용하는 보행보조 로봇 '젬스'를 올 4월께 처음 상용화할 것으로 보고 있다. 상점에서 주문과 결제, 음식 서빙을 지원하는 '삼성봇 서빙', 고객을 응대하는 '삼성봇 가이드', 돌봄 로봇 '삼성봇 케어', 가정용 로봇 '핸디' 등을 양산할 것으로 보인다. 삼성전자가 로봇 사업에 공을 들이는 이유는 코로나19를 계기로 비대면 수요가 확산된 데다 5세대(5G) 이동통신 등 관련 기술의 고도화로 로봇시대 현실화가 가능해진 덕이다. 시장조사기관 모도인텔리전스에 따르면 전 세계 로봇 시장 규모는 2020년 277억3000만달러에서 2026년 741억달러까지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날 한 부회장은 삼성전자의 신산업 성장을 이끌 수 있는 또 다른 한 축으로 메타버스도 강조했다. 한 부회장은 "최적화한 메타버스 디바이스와 솔루션을 혁신하겠다"며 시장 개척 의지를 밝혔다. 삼성전자는 메타버스와 관련된 증강현실(AR) 기기 출시를 준비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삼성전자는 기술 개발을 위해 미국의 AR·확장현실(XR) 기술 전문기업 디지렌즈와도 긴밀하게 기술을 공동 개발해온 것으로 알려졌다.
삼성전자는 메타버스를 활용한 마케팅도 강화하고 있다. 올해 초 CES 2022에서 메타버스 플랫폼 디센트럴랜드에 가상 전시공간인 '삼성 837'을 열었다. 삼성전자는 일회성에 그치지 않고 앞으로도 메타버스를 활용해 고객 접점을 강화하겠다는 전략이다.
본문의 근거
1. 지난해 말에는 조직 개편을 통해 기존의 '로봇 사업화 태스크포스(TF)'를 정식 조직인 '로봇사업팀'으로 격상
2. 로봇과 AI를 포함한 미래 기술 산업에 3년간 240조원을 투자하겠다고 밝히며 공격적인 행보를 예고
3. 메타버스와 로봇을 활용해 고객 접점을 강화하겠다는 전략이다.
추가 조사할 내용 또는 결과
메타버스
- 초월을 의미하는 '메타'(meta)와 세계, 우주를 의미하는 '유니버스'(universe)를 합성한 신조어
- 증강현실 : 현실공간에 2D/3D로 표현한 가상의 겹쳐 보이는 물체를 통해 상호작용하는 환경을 의미
- 일상기록 : 일상기록 또는 라이프로깅(Lifelogging)은 사물과 사람에 대한 일상적인 경험과 정보를 캡쳐하고 저장하고 묘사하는 기술
- 거울세계 : 실제 세계를 가능한 한 사실적으로, 있는 그대로 반영하되 "정보적으로 확장된" 가상세계를 말함. 대표적으로 구글 어스가 있다.
- 가상세계 : 현실과 유사하거나 혹은 완전히 다른 대안적 세계를 디지털 데이터로 구축한 것
인공지능(AI)
- 학습, 문제 해결, 패턴 인식 등과 같이 주로 인간 지능과 연결된 인지 문제를 해결하는 데 주력하는 컴퓨터 공학 분야
적용할 점 (현직자에게 할 질문)
1. 메타버스, 로봇 관련 기술로 인수, 합병이 유망한 기업이 어느 곳인지
2. 기존 사업과 메타버스, 로봇을 어떻게 연관시키는지
3. 메타버스, 로봇, AI를 이용하여 고객과의 접점 강화하는 방안으로는 무엇이 있는지
연관기사 링크
- "삼성전자 위력 대단하네"...삼성 한마디에 줄줄이 급등한 종목들
- 삼성전자 '로봇, 메타버스'신사업, 어떻게 진행되나
'신문 스크랩'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신스] 삼성 특허지수 애플의 3배…LG전자 자율주행기술 완성차 압도 (0) | 2022.03.29 |
---|---|
[경신스] 1인당 탄소배출 2배 많은 한국…탄소중립 충격 선진국중 가장 커 (0) | 2022.03.23 |
[경신스] '제2반도체' K-배터리, 전고체 기술력 과시 (0) | 2022.03.18 |
[경신스] "환불•정밀진단 당연히 되죠?"…MZ세대, 중고차 시장 바꾼다 (0) | 2022.03.18 |
[경신스] 대만의 반도체 공습...파운드리 이어 AP도 삼킨다 (0) | 2022.03.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