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문 스크랩

[경신스] 현대차그룹 '차량 두뇌' 제어기 개발 조직 통합

728x90

2022.07.04

헤드라인

현대차그룹 '차량 두뇌' 제어기 개발 조직 통합

 

기사링크

https://www.mk.co.kr/news/business/view/2022/07/582163/

 

본문

차량주행때 기능 제어하는
핵심부품 개발센터 이달 신설

소프트웨어 기술력 강화해
중복 기능 제어기 대폭 감축

R&D 조직개편 1차 마무리
모빌리티기업 변신 착착

 

현대자동차그룹이 연구개발본부 내에 산재돼 있던 소프트웨어(SW) 제어 담당 부서를 하나로 통합하는 조직 개편을 단행했다.

지난해 말부터 현대차는 전기차 제조사로 거듭나기 위해 연구조직과 생산라인 개발을 담당하는 부서를 대대적으로 개편하며 패러다임 변화에 대응해왔다. 업계에서는 이번에 제어기 담당 조직을 신설하면서 현대차가 모빌리티 기업으로 가기 위한 기본적인 조직 개편을 마무리했다는 분석이 나온다.

3일 완성차 업계에 따르면 최근 현대차는 연구개발본부 내에 '차량제어개발센터'를 신설했다. 이곳은 각기 다른 팀에 속해 있던 제어기 개발과 관련된 연구인력을 하나로 통합한 조직이다. 기존에 연구개발기획조정실을 이끌고 있는 김용화 전무를 지난 1일 부사장으로 승진시켜 지휘봉을 맡겼다.

자동차 제어기는 차량 주행 시 각 부품과 전자신호를 주고받으며 다양한 명령을 내리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하이브리드차의 경우 속도에 따라 전기모터와 엔진이 동력원으로 사용되는데 이를 제어기가 조절한다. 최근 출시되는 차량은 도로 상황과 속도를 판단해 전륜과 후륜 또는 좌측과 우측 바퀴에 동력을 배분하는데, 이 또한 제어기가 자동차 주행 전반을 조정하기에 가능한 일이다.

제어기가 차량의 전반적인 상태를 파악하고 스스로 명령을 내리는 차량의 '두뇌' 역할을 하면서 제어기 숫자도 과거 수백 개에서 현재 수천 개로 많아졌다.

지금까지 현대차는 특정 연구개발(R&D) 조직 내에 각기 다른 제어기 개발팀을 뒀다. 엔진을 만드는 부서가 엔진 관련 제어기를 만들고, 공조장치 개발 부서가 에어컨과 관련된 제어기를 만드는 식이다. 이러한 방식은 그동안 큰 문제는 없었지만 최근 제어기가 많아지면서 효율성이 떨어지는 일이 종종 발생하기 시작했다. 차를 조립하고 났더니 제어기 간 신호가 충돌해 오작동이 일어나기도 했다. 제어기는 스스로 상황을 분석하는데, 제어기가 많으면 분석 시간이 오래 걸리기도 한다. 제어기를 통합 관리하면 이 같은 부작용을 없애고 차량의 연비나 전비, 주행성능 등을 극대화할 수 있다.

현대차는 차량제어개발센터 신설을 토대로 2030년까지 차량에 적용되는 제어기 수를 현재의 3분의 1로 줄여 나간다는 계획이다.

 

 

본문의 근거

 1. 현대자동차그룹이 연구개발본부 내에 산재돼 있던 소프트웨어(SW) 제어 담당 부서를 하나로 통합하는 조직 개편을 단행

- 제어기 담당 조직을 신설하면서 현대차가 모빌리티 기업으로 가기 위한 기본적인 조직 개편을 마무리했다는 분석

 

 2. 현대차는 연구개발본부 내에 '차량제어개발센터'를 신설

 - 각기 다른 팀에 속해 있던 제어기 개발과 관련된 연구인력을 하나로 통합한 조직

 

 3. 자동차 제어기는 차량 주행 시 각 부품과 전자신호를 주고받으며 다양한 명령을 내리는 역할

 - 하이브리드차의 경우 속도에 따라 전기모터와 엔진이 동력원으로 사용되는데 이를 제어기가 조절

 -  최근 출시되는 차량은 도로 상황과 속도를 판단해 전륜과 후륜 또는 좌측과 우측 바퀴에 동력을 배분하는데, 이 또한 제어기가 자동차 주행 전반을 조정하기에 가능

 

4. 최근 제어기가 많아지면서 효율성이 떨어지는 일이 종종 발생하기 시작했다. 차를 조립하고 났더니 제어기 간 신호가 충돌해 오작동이 일어나기도 했다. 제어기는 스스로 상황을 분석하는데, 제어기가 많으면 분석 시간이 오래 걸리기도 한다. 제어기를 통합 관리하면 이 같은 부작용을 없애고 차량의 연비나 전비, 주행성능 등을 극대화할 수 있다.

 

 

추가 조사할 내용 또는 결과

 

1. 제어기
기존의 대형 원자력 발전소와 달리 배관없이 주요기기를 하나의 용기 안에 배치해 일반적으로 300MW급 이하인 소형원자로 - 발전용량이 대형 원전의 20~30%지만 건설 과정이 단순하고 안전성도 상대적으로 높은 것
 - 공장에서 부품을 만들고 현장에서 조립해 소규모 원전을 만드는 방식

 - 원자로 냉각제 배관 파손으로 인한 방사능 유출가능성이 없어 일반 원전대비 안전성이 높고, 발전용수가 적게 들어 해안이 아닌 내륙에도 건설이 가능하며, 건설비용이 저렴하고 건설기간이 짧음

 - 해수담수화 및 열 공급 가능

 

 

 

적용할 점 (현직자에게 할 질문)

1. PID를 이용한 제어기 개발 사례/방법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