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04.09
헤드라인
해외서 여기어때로 호텔잡고, 카카오T로 이동… 진격의 토종플랫폼
기사링크
https://www.mk.co.kr/news/business/view/2022/03/289803/
본문

"'여기어때'의 유니콘 평가는 올해 여행 시장에서 폭발적 성장을 기대하는 투자심리가 반영돼 있다."
국내 투자 업계는 여행·여가 플랫폼 여기어때가 기업가치 1조원 이상의 유니콘 기업으로 평가받았다는 소식에 이 같은 분석을 내놓으며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억눌렸던 여행·여가 시장의 수요가 화산처럼 분출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여기어때는 시장 수요를 일시에 동결시킨 코로나 팬데믹이라는 초유의 사태 속에서 공유주방 등 새로운 공간 대여 사업으로 돌파구를 만들며 오히려 실적을 개선하는 면모를 선보였다. 이와 함께 오미크론 변이 바이러스 출현 이후 전염병의 풍토병화(엔데믹)가 해외여행을 완전히 정상화시킬 것이라는 기대가 커지면서 더욱 높은 기업가치를 평가받고 있다. 미래에셋그룹만 여기어때에 최대 500억원을 투자할 것이라는 전언도 나온다.
여기어때컴퍼니는 당장 다음달을 목표로 실시간 국내외 항공편을 예약할 수 있는 서비스를 출시할 것으로 알려졌다. 실시간 항공 티켓 예매는 해외여행 정상화에 초점을 맞춘 서비스로 보인다. 여기어때는 자사 앱에서 해외 숙소를 예약하거나 해외여행 패키지 상품을 살 수 있는 서비스도 올해 안에 선보일 계획이다. 여행 업계 관계자는 "여기어때뿐 아니라 다양한 여행·여가 플랫폼이 해외여행을 겨냥한 서비스 개편을 이미 추진하거나 준비하고 있다"고 말했다.
여행·여가 플랫폼 기업들은 지난해부터 해외여행 정상화에 맞춘 사업 확장 전략을 추진해왔다. 여기어때는 지난해 20년 업력을 쌓아온 온라인 기반 해외여행 전문 여행사 '온라인투어' 지분을 인수하기 위해 500억원을 투자했다. 온라인투어는 2000년부터 지점과 대리점 중심이던 전통적인 종합여행업을 온라인으로 바꾼 기업으로, 코로나 이전 기준 국내 여행사 순위 5위로 평가받았다. 야놀자도 지난해 10월 하나투어와 전략적 제휴를 맺고 여행 상품을 단독 공급받기로 했다. 이어 11월 여행·항공·공연·쇼핑 등 인터파크 사업 부문 지분 70%를 2940억원에 인수했다. 개인화 여행 플랫폼 트리플도 지난해 7월부터 해외여행 현황판 서비스를 시작했다. 지난해 11월에는 해외 항공권 예약 서비스의 시스템 연동 방식을 개편해 다양하고 저렴한 항공권을 제공할 수 있는 바탕을 마련했다.
최근에는 숙박·여가 플랫폼뿐 아니라 유관 산업까지 해외여행객을 잡기 위한 행보를 보이며 낙관론에 힘을 싣고 있다. 모빌리티 업계가 대표적이다. 카카오모빌리티는 지난 7일 기자간담회를 열고 올해를 해외 진출의 원년으로 삼겠다는 전략을 발표했다.
국내 입국자(인바운드)와 해외 출국자(아웃바운드) 수요 모두를 카카오T 플랫폼으로 공략하겠다는 것이다.
류긍선 카카오모빌리티 대표는 "일본과 베트남 등 일부에서 제공하던 로밍 서비스를 확대해 전 세계 어디에서도 카카오T 앱만으로 이동할 수 있게 할 것"이라며 "한국 방문자를 위해 영문 버전뿐 아니라 해외 플랫폼 업체와 협력을 통해 서비스를 구체화할 것"이라고 했다. 모빌리티 플랫폼 타다도 지난 6일 공항 이동 예약 서비스 '타다 에어(AIR)'의 인천공항 서비스를 재개했다. 타다 운영사인 VCNC 관계자는 "해외 입국자를 대상으로 한 방역교통망 이용 의무가 지난 1일 해제되면서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게 가능해져 서비스를 재개했다"고 말했다.
여기어때의 기업가치 성장은 해외여행 정상화뿐 아니라 여행·여가 플랫폼으로 확장한 결과이기도 하다.
지난해 5월 정명훈 대표가 취임한 이후 여기어때는 숙박 예약 서비스를 넘어 여가 산업으로 진격을 가속화했다. 여기어때는 다양한 놀거리, 이동수단, 맛집, 티켓 예매까지 종합적인 여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으로 성장했다. 지난해 12월에는 공간 대여 서비스로도 진출한 뒤 순항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 서비스는 파티룸, 촬영 스튜디오, 연습실, 스터디룸, 주방까지 다양한 공간을 제공해 이용자들이 여가를 즐길 수 있도록 돕는다.
본문의 근거
1. 여기어때는 시장 수요를 일시에 동결시킨 코로나 팬데믹이라는 초유의 사태 속에서 공유주방 등 새로운 공간 대여 사업으로 돌파구를 만들며 오히려 실적을 개선하는 면모를 선보였다
- 여기어때는 다양한 놀거리, 이동수단, 맛집, 티켓 예매까지 종합적인 여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으로 성장했다. 지난해 12월에는 공간 대여 서비스로도 진출한 뒤 순항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 서비스는 파티룸, 촬영 스튜디오, 연습실, 스터디룸, 주방까지 다양한 공간을 제공해 이용자들이 여가를 즐길 수 있도록 돕는다.
2. 여행·여가 플랫폼 기업들은 지난해부터 해외여행 정상화에 맞춘 사업 확장 전략을 추진
- 여기어때는 지난해 20년 업력을 쌓아온 온라인 기반 해외여행 전문 여행사 '온라인투어' 지분을 인수하기 위해 500억원을 투자
- 여기어때컴퍼니는 당장 다음달을 목표로 실시간 국내외 항공편을 예약할 수 있는 서비스를 출시
3. 최근에는 숙박·여가 플랫폼뿐 아니라 유관 산업까지 해외여행객을 잡기 위한 행보를 보이며 낙관론에 힘을 싣고 있다
4. 일본과 베트남 등 일부에서 제공하던 로밍 서비스를 확대해 전 세계 어디에서도 카카오T 앱만으로 이동할 수 있게 할 것
추가 조사할 내용 또는 결과
1. 유니콘 기업
- 기업 가치가 10억 달러 이상이고 창업한 지 10년 이하인 비상장 스타트업 기업
2. VCNC
- 커플 앱 '비트윈'과 '타다'를 운영하는 기업
- 비트윈을 출시해 인기를 끈 뒤 이재웅의 쏘카가 인수하여 이재웅의 주도로 유사택시 형태의 렌터카 서비스 타다를 출시
3. 카드업계가 항공 마일리지 지급부터 면세점, 숙박 등 해외여행과 관련된 혜택을 다시금 늘리고 있다. 해외 입국자에 대한 자가격리 해제 조치가 내려지면서 억눌렸던 해외여행 수요가 폭발하고 있기 때문
- 삼성카드는 자사 대표 마일리지 신용카드인 ‘삼성 &마일리지 플래티넘 카드’의 디자인을 리뉴얼하는 한편, 이달 한 달간 이 카드를 이용해 20만원 이상을 결제한 고객에게 스카이패스 7000마일리지를 지급하는 이벤트를 진행
- KB국민카드 : 이달 말까지 하나·인터파크투어에서 할인 대상 국제선 항공권을 결제하면 최대 10%의 할인을 제공하며, 일부 온라인 쇼핑몰에서도 해외여행 상품을 구매하면 최대 15%의 할인혜택을 준다. 롯데인터넷면세점에서 250달러 이상 결제시에도 이용금액에 따라 즉시 사용이 가능한 적립금을 준다.
- 현대카드의 경우 카드업계 최초로 대한항공 마일리지를 즉시 적립할 수 있는 '마일리지 긴급충전 서비스'
- 롯데카드는 지난달부터 이용금액 1000원 당 최대 3마일리지를 적립 가능한 '아멕스 플래티넘 아시아나클럽 롯데카드'
- 하나카드는 ‘호텔스닷컴’에서 호텔을 예약하는 고객에 11% 즉시할인 혜택을 준다. 이와 함께 뉴욕 엠파이어스테이트, 파리 에펠탑 등 세계 유명 전망대 입장권을 10달러에 살 수 있는 프로모션도 진행
- 카드업계가 해외여행 재개를 반기는 배경엔 국내 가맹점 수수료율 규제 여파로 카드 결제 수수료 수익이 악화
4. 정부는 연말까지 국제선 운항의 50%를 회복하고, 운항 규모·노선 인가 등 모든 운항 절차도 정상화할 방침
- 우선 코로나19 이전 대비 운항규모가 8.9%로 축소된 국제선 정기편을 다음 달부터 매월 주 100회씩 대폭 증편한다. 6월까지 주 620회 운항으로 늘릴 예정
적용할 점 (현직자에게 할 질문)
1. 시장 동결의 위기에서 공유주방 등 새로운 공간 대여 사업 등의 전략을 어떻게 생각해 냈는지?
2. 고객 범위를 넓히기 위한 마케팅 전략은 어떻게 할 것인가?
연관기사 링크
카드업계, 해외여행 재개 움직임에 관련 혜택 '기지개'
해외여행 목 빠지게 기다리던 사람들, 대흥분할 '공지' 떴다
'신문 스크랩'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신스] '뿌리기업'비와이, 스마트공장으로 도약 (0) | 2022.04.11 |
---|---|
[경신스] 상하이 테슬라 이어 니오 공장도 중단… 中전기차 허브 위기 (0) | 2022.04.11 |
[경신스] 삼성 이어 LG도 키오스크 진출…40조시장 쟁탈전 (0) | 2022.04.09 |
[경신스] 삼성휴대폰 발열 원인… 반도체 설계나 생산이냐 (0) | 2022.04.06 |
[경신스] LG전자 창원공장 '제조업 등대'로 불 밝혔다 (0) | 2022.04.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