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SA182 샌디에이고 상공 공중충돌 사고 1978년 9월 25일
https://youtu.be/FO0HPELxA5M?si=vMOI-t1JLlTnHho7
보잉 727 기종(PSA182편)과 세스나 172이 충돌한 사고. 사고 원인으로는 안일한 관제(관제사는 충돌 19초전 충돌 경보를 들었다고 한다.)와 사각지대 등으로 육안 확인이 어려웠음이 꼽힌다. 이 사고를 계기로 TCAS가 연구되었다.
*TCAS(Traffic alert and Collision Avoidance System) : 공중충돌방지장치는 공중에서 복수의 항공기가 서로 접근할 때 조종사에게 경고하며, 공중충돌이 일어나지 않도록 회피 기동을 안내하는 장치이다.
1단계 TCAS TA (Traffic Advisory) : 조종사에게 충돌 위험이 있음을 경고
2단계 TCAS RA(Resolution Advisory) : 조종사에게 충돌위험 해소를 위해 Climb/Desesnd 조언을 함 (상호작용으로 A항공기에는 Climb / B항공기에는 Descend)
위버링겐 공중 충돌 사고 2002년 7월 1일
https://youtu.be/t02FEDf4SNU?si=nKA5jsjuz1cmhljG
DHX611편과 BTC2937편이 공중충돌한 사고. 충돌을 피하기 위해 두 항공기가 서로 하강하여 충돌하였다. 사고 원인으로는 TCAS와 관제의 우선순위 불명확함과 조종사의 보고 지연, 관제사의 실수를 꼽는다. 이 사고 이후 TCAS와 관제 중 TCAS를 우선시하라는 우선순위를 명확히했다.
에어아시아 8501편
https://youtu.be/qjjJIq4jLKk?si=Q8ELNvi7P0ur5jHE
방향타 이동폭 제한 장치 RTLU (Rudder travel limiter unit) 기판 납땜이 온도변화와 진동으로 인해 피로파괴로 끊어져 지속적인 error 메시지를 보낸 것이 시발점이다. 에러 메시지를 해결하기 위해 정비를 하기보단 비행을 하기 위해 비행 컴퓨터 초기화 작업을 지속적으로 하였다. 비행 중 비행컴퓨터 초기화 작업을 시도해 manual control mode로 넘어가고 기장과 부기장의 미숙한 대응으로 사고가 발생했다.